'■ 건설사업관리(감리)/▫ 시공관리'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728x90

■ 건설사업관리(감리)/▫ 시공관리14

가스 압접 이음 적용 철근 연혁 : 적용가능철근 (SD300, SD400, SD500, SD600, SD400W, SD500W, SD400S, SD500S, SD600S) ▷KS B 0554 : 2014R ~>가스압접 적용대상 : SD600이하, SD400W, SD500W ▷KS B 0554 : 2024~>가스압접 적용대상 : SD300, SD400, SD500, SD600, SD400W, SD500W, SD400S, SD500S, SD600S 2025. 5. 13.
강우 시 콘크리트 타설 : 콘크리트 타설 계획서, 공사감독일지 비치 #강우 시 콘크리트 타설 (국토부) 2502 : 콘크리트 타설 계획서, 공사감독일지 비치 (원칙적으로 금지) ▶강우 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가이드라인 (2024.12. 국토교통부) ∘(원칙적 금지) 강우·강설로 인해 품질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도록 규정 * 다만, 강우량 3mm/hr 이하에서 부득이 타설이 필요한 경우 수분유입에 따른 품질저하방지 조치를 취하고, 책임기술자의 승인을 받아 예외적으로 타설이 가능하며, 콘크리트 타설 여부 판단, 강우 시 사전·사후 단계별 조치사항 등 가이드라인을 참조 4.3 기록 및 보관4.3.1 일반사항(1) 책임기술자와 시공자는 강우 시 콘크리트 타설과 관련된 아래의 서류를 건설공사 현장에 비치하고 발주자 또는 관계기.. 2025. 4. 15.
철근의 기계적 성질 : 철근의 항복강도, 인장강도 기준 #철근의 기계적 성질 (한국산업표준/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KSD3504 : 2021) 2503 : 철근의 항복강도, 인장강도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KS D 3504 : 2021) [표 3] 철근의 기계적 성질 (KS D 3504)종류기호항복점또는 항복강도N/mm²인장강도aN/mm²인장 시험편연신율b%굽힘성굽힘각도안쪽 반지름SD300300 ~ 420항복강도의1.15배 이상2호에 준한 것16 이상180˚D16미만 : 공칭 지름의 2배 D16이상 D22미만 :공칭지름의 2.5배 D22이상 D29미만 :공칭지름의 3배 D29이상 D38미만 :공칭지름의 4배 D38이상 : 공칭 지름의 5배3호에 준한 것18 이상SD400400 ~ 520 항복강도의1.15배 이상2호에 준한 것16 이상180˚3호에 준한 것18 .. 2025. 3. 26.
건식 석재공사 표준시방서 : 석재30mm이상, 에폭시 불가 #건식 석재공사 표준시방서 (건축법/ 건축구조기준/ 표준시방서) 2503 : 석재30mm이상, 에폭시 불가 건식 석재공사 표준시방서 ( KCS 41 35 06 : 2023 ) 1. 일반사항1.1 적용 범위 (1) 이 기준은 건축공사에 있어서 석공사를 필요로 하는 부위에 건식 석재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석재공사에 적용한다.1.2 참고 기준1.2.1 관련 법규내용 없음1.2.2 관련 기준(1) KCS 41 35 01 (1.2.2)에 따른다. 1.3 용어의 정의 (1) KCS 41 35 01 (1.3)에 따른다. 1.4 제출물(1) KCS 41 35 01 (1.4)에 따른다. 1.5 품질보증(1) KCS 41 35 01 (1.5)에 따른다. 1.6 환경유의사항 (1) KCS 41 35 01 (1.6)에 따른다... 2025. 3. 12.
콘크리트 타설시간 및 이어치기 : 1.5시간~2시간(타설) #콘크리트 타설시간 및 이어치기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2502: 1.5시간~2시간(타설), 2시간~2.5시간(이어치기) [법규요약]1.콘크리트 타설시간 (비빔에서 타설완료까지) 25℃이상 : 1.5시간 이내 25℃미만 : 2시간 이내2. 콘크리트 허용 이어치기 시간간격 (비빔에서 타설완료까지) 25℃초과 : 2시간 이내 25℃이하 : 2.5시간 이내 KCS 14 20 10 : 2024 일반콘크리트 표준시방서 3. 시공3.2 운반(1) 콘크리트의 운반은 운반차의 배출지점 전의 운반과 배출지점 후의 운반으로 분류되고, 운반과정에서 콘크리트 품질이 변화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2) 공사를 시작하기 전에 콘크리트의 운반은 콘크리트의 종류, 품질 및 시공 조건에 따라 적합한.. 2025. 2. 25.
거푸집널의 해체 시기 : 5MPa, 4일~6일 #거푸집널의 해체 시기 (건설기술진흥법/ 콘크리트 표준시방서(2022)/거푸집 및 동바리) 2412 KCS 14 20 00 : 2022 콘크리트 표준시방서KCS 14 20 12 : 2022 거푸집 및 동바리 3.3 거푸집 및 동바리의 해체3.3.1 거푸집 및 동바리의 해체(1) 거푸집 및 동바리는 콘크리트가 자중 및 시공 중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질 때까지 해체할 수 없다.(2) 거푸집 및 동바리의 해체 시기 및 순서는 시멘트의 성질, 콘크리트의 배합, 구조물의 종류와 중요도, 부재의 종류 및 크기, 부재가 받는 하중, 콘크리트 내부의 온도와 표면 온도의 차이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고 책임기술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3) 기초, 보의 측면, 기둥, 벽의 거푸집널의 해체는 시험에 의해.. 2025. 2. 11.
728x90